주요 고려 사항
적절한 조직 파쇄방법을 결정할 때, 아래 사항들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 샘플유형: 어떤 샘플을 파쇄하려고 하시나요? 샘플의 탄성은 샘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뇌(brain)과 비장(spleen)과 같은 부드러운 조직은 뼈와 같은 단단한 조직에 비해 균질화(homogenize)가 쉽습니다. 단단한 샘플의 경우 stainless steel 비드를 이용한 비드비팅 (bead-beating)과 같은 좀 더 강력한 방법이 필요합니다.
- Target Molecules: 무엇을 분리하고자 하며, 어디에 위치해 있습니까? 핵산 추출(nucleic acid isolation)과 단백질 추출 (protein isolation)은 다른 파쇄 방법 또는 시약이 필요합니다. 이와 유사하게,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분리방법 (mitochondrial protein isolation)과 전체 단백질 분리방법 (total protein isolation) 도 다릅니다.
- 필요 수율 (Required Yield): 다음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DNA, RNA 또는 단백질이 필요합니까? 추출 방법에 따라 수율이 높아질 수 있지만, 시간이 더 걸리거나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습니다.
- Downstream Application: 분리한 물질로 어떤 실험을 진행하려고 하시나요? 조직 샘플 파쇄에 흔히 사용되는 특정 시약의 경우 특정 실험과는 호환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분리한 관심 단백질로 효소 분석을 수행하려는 경우, 단백질의 기능을 유지하거나 복원해 줄 수 있는 파쇄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즉, 단백질이 변성되지 않는 파쇄방식 사용).
- 샘플 수량: 한번에 처리할 샘플 수가 많거나 자주 진행해야 하나요? 그렇다면, 다양한 조직과 세포의 파쇄에 최적화되어 있는 Fastprep® 장비 와 같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문 장비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 예산: 어떤 장비를 이미 보유하고 있는지, 얼마나 많은 비용을 지출할 수 있는지를 고려하세요. 조직 파쇄 방법은 비용면에서 상당히 다양할 수 있으며, DIY 방법은 비용이 저렴하고, high throughput 방법은 더 비쌉니다. 저렴한 매뉴얼 방법 (home-brew)은 특정 분야 및 실험실에서는 충분할 수 있지만, 문제 해결(troubleshooting)과 최적화(optimizing)에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연구가 지체되는 것을 막기 위해 ready-to use 버퍼와 동급 최강의 비드비팅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보십시오.